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사이트 로그인
이번에는 treemap 의 type이 comp일때 어떻게 treemap이 변하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색상은 employees.prev 로 설정했습니다.
treemap(business[business$NACE1=="F - Construction",],index=c("NACE2", "NACE3"),vSize="employees",vColor="employees.prev",type="comp")
|
treemap 아래에 보시면 색상에 대한 범례가 있는데
employees.prev가 -70% 부터 60%까지로 설정이 되있습니다.
employees.prev의 데이터 형태를 보도록 하죠.
employees.prev도 employees와 같은 양의 실수 값을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저런 범례가 추가 된걸까요?
엑셀에서 부분합 기능을 이용해 employees와 employees.prev의 NACE3 에 대한 합계를 구해보았습니다.
범례에 지정되있는 범위, 즉 type이 comp로 지정했을때 색상은 (employees/employees.prev) - 1 로 적용됩니다.
저 수치가 의미하는 바는 ((employees/employees.prev) - 1) 이전 종업원수에 비에 얼마나 줄었는지를(또는 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가장 빨간 42.9 - Construction of other civil engineering projects 의 경우, 이전 종업원은 14652인에 반해, 현재는 4585입니다.
무려 70%가까이 줄어드는 것 입니다.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해준 것입니다. 반면에초록색 계통의 산업 분야는 이전에 비해 종업원수가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ize와 color를 적절히 이용한다면, 색상에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도 있다는것을 느끼셨나요?
index, value, comp외에도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모두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
« Prev [BigData -Visualization for R] Tree Map 그리기 5(type =Dense)
[BigData -Visualization for R] Tree Map 그리기 5(type =Dense) 2014.05.21by DataMarket 〈[BigData -Visualization for R] Tree Map 그리기 3(type = index... Next »
[BigData -Visualization for R] Tree Map 그리기 3(type = index... 2014.05.21by DataMark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