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사이트 로그인
Tree graph 에 이어서 Tree map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Tree map 은 아래 그림과 같은 그래프로서, 시각적으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플롯중에 하나입니다.
아래 그림은 전세계 나라의 인구수와 GNI를 하나의 플롯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사각형의 크기는 인구수에 비례하고 색상이 진하면 진할수록 GNI가 높다는 의미 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대륙별로 사각형이 나눠져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대륙별로도 인구나 GNI를 비교하실수 있습니다.
역시 유럽이나 미국이 인구는 많지 않아도 GNI는 높군요.(2010년도 데이터 입니다)
Treemap 은 treemap 패키지 안에 있습니다.
패키지 설치후 라이브러리 호출해주세요.
treemap에 관한 내용은 여러번에 걸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바로 위 그래프를 그려보도록 하죠
위 데이터는 treemap패키지안에 있는 GNI2010 데이터입니다. 데이터를 호출하고 구조를 확인하고 treemap을 그려봅시다
data(GNI2010) str(GNI2010) treemap(GNI2010,index=c("continent", "iso3"),vSize="population",vColor="GNI",type="value") |
iso3 는 나라의 약자이군요. 나라, 대륙, 인구, GNI 가 칼럼으로 들어가있는 데이터 입니다.
treemap(GNI2010,index=c("continent", "iso3"),vSize="population",vColor="GNI",type="value")
사용하는방법은 treegraph와 비슷합니다.
GNI2010 이라는 데이터프레임을 첫인수로 넣어주고 index설정을 해줘야합니다.
index는 순서데로 큰 사각형(타일)과 작은 타일을 설정해 주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vSize는 사각형이 크기를 뭘로 결정할 것이냐에 대한 옵션입니다. 여기선 인구수에 비례하여 사각형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했습니다.
vColor는 색상이겠죠? GNI의 크기에 비례하여 색상이 들어가도록 설정했습니다.
type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옵션이 들어갈 수 있는데, value는 값에 따라 색상과 크기를 결정하겠다는 의미 입니다.
type을 index로 바꿔보죠
treemap(GNI2010,index=c("continent", "iso3"),vSize="population",vColor="GNI",type="index")
type을 index로 바꾸면, vColor를 설정 해 준다 할지라도, 색상에 반영 되지 않습니다.
다만 Index로 설정해준다면 대륙별로 (index=c("continent","iso3") 옵션에서 대륙을 처음으로 설정해주었기때문) 의 구분이 쉽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reemap에 관해서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아 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type별로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